전체 글 316

지질학1-2

역사와 발전단계 지구에 대하여 ‘무엇을’(what), ‘언제’(when), ‘어디에’(where), ‘어떻게’(how), ‘왜’(why)라는 문제의 실마리를 풀기위해서 지질학자들은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를테면 하나의 활화산이 숨기고 있는 문제의 해결을 얻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게 될 것입니다. 도대체 용암은 무엇으로 되어 있는가? 화산의 활동은 어떠하고, 그의 열(熱)은 무슨 이유로 발생하는가? 용암과 화산가스는 어디에서 솟아 나오는가? 그 화산은 처음의 분화는 언제였고, 언제 또 다시 분화가 일어나겠는가? 그리고 화산은 왜 특정 지역에 줄지어 있는가? 위의 ‘무엇’은 지구를 구성하는 물질에 관한 문제입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Empedokles, BC 490~..

카테고리 없음 2022.01.03

지질학 1-1

1.개념 및 정의 지질학(地質學, geology)이란 말은 그리스어의 ‘Geo’(지구)와 ‘logos’(논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지구’(earth)를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自然科學, natural science)의 한 분야입니다. 지질학은 지구의 성분, 구조, 형성과정 및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지질학은 지구의 구성 물질, 그 물질의 분포상태와 구조, 지구에 미치는 여러 가지 작용, 이들 작용으로 인한 변화 등을 연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구의 역사와 그 변천과정을 밝히려는 학문입니다. 지질학은 고체지구(solid earth)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분야로 표현할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고체지구라는 말은 공기로 되어 있는 대기권과 물로 되어 있는 해양에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으..

카테고리 없음 2022.01.03

지질학

지각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지각의 조성·성질·구조·역사·성인 등을 다룹니다. 지질학의 특징은 다채로운 분과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과학적 성격이 짙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지각의 조성·성질·구조·역사·성인 등을 다룹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물질이 다양한 만큼 여러 분과로 나뉩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의 조직·구조·성인을 다루는 암석학,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성질 ·구조·생성을 연구하는 광물학, 퇴적암의 지층구조·성인·형성메커니즘을 연구하는 퇴적학 등이 있습니다. 또한 지각 내부의 지질구조를 밝혀, 그 형성메커니즘을 추적하는 구조지질학, 해저의 지질현상을 다루는 해양지질학 분야도 있습니다. 지층의 분포와 상하관계를 밝히는 층서학(層序學)은 지층 중의 화석을 연구대상으로 하..

카테고리 없음 2022.01.03

인지심리학7

톨맨(E.C. Tolman)의 기호학습 이론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에 그 세력이 확대된 미국의 심리학의 한 분파입니다. 인간의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기계적인 연결에 의하여 설명하려고 하는 S-R 이론에 반대하여 인지활동을 강조합니다. 주로 전자계산기의 정보처리를 모형으로 택하여 주의(注意)·기억·사고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외국어 표기 認知心理學(한자), cognitive Psychology(영어) 참조어 기호학습설 인지심리학 생명과학대사전 생체가 어떻게 환경을 인지하고 어떻게 지식을 획득하여 그것에 의해 효과적인 수행으로 유도되는가를 해명하려고 하는 심리학. 행동대신에 정신을 이해하려고 하며, 그 때문에 정보처리과정의 연구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정신 구조에 중점을 둡니다. 출처-네이버..

카테고리 없음 2021.12.31

인지심리학6

앎의 과정 혹은 인간이 대상을 감지하고 식별하고 기억하고 사고하고 추론하는 정신과정을 과학적으로 밝히는 심리학의 분야 18세기 초 심리현상에 대한 객관적 실험방법과 수량화 가능성을 제기한 후, 1879년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의 실험실 설립과 철학의 내성법, 물리학, 생물학 등의 실험법을 활용하여 의식과 구조 특성에 대한 연구로 인지심리학 발달에 기여하였습니다.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생활장면에서 자신과 환경에 대한 지식 또는 감각 정보를 습득, 변환, 단순화, 정교화, 저장, 인출 및 생각과 행동 결정에 활용하는 등 모든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정보처리 접근법에서는 정보의 습득, 저장, 인출, 활용이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습..

카테고리 없음 2021.12.31

인지심리학5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 인간의 여러 가지 고차원적 정신과정의 성질과 작용 방식의 해명을 목표로 하는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인간이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획득한 지식을 구조화하여 축적하는 메커니즘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인공지능·언어학과 함께 최근의 새로운 학제적(學際的) 기초과학인 인지과학의 주요한 분야를 이룹니다. 인지(cognition)란 인식으로도 번역되며, 온갖 사물을 알아보고 그것을 기억하며 추리해서 결론을 얻어내고, 그로 인해 생긴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정신적인 과정으로서 오랜 세월 동안 심리학이나 철학·의학 분야의 중요한 주제가 되어 왔습니다. 그 중 지식의 기원이나 한계 등의 추상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은 철학이 다루고, 각종 정신 활동에 관여..

카테고리 없음 2021.12.31

인지심리학 4

5.인지 심리학의 방법론 인지 심리학의 연구 방법은 다른 자연과학의 경험과학들과 마찬가지로 실험 위주의 전통적 방법론을 사용하며, 인지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 형성된 다른 연구 방법들을 추가하여 사용합니다. 인지 심리학 실험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방음, 조명 통제 등으로 주변 환경 상황이 일정하게 통제된 실험실에서 피험자에게 컴퓨터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언어 자극, 시각 도형 자극, 청각 자극, 정서적 자극, 문제 상황 자극 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자극 또는 과제에 대한 실험 참가자들의 반응을 반응키, 음성키, 키보드, 또는 시청각 기기 등을 통해 수집하여, 컴퓨터 등에서 정밀 측정치로 바꾸며, 앞의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실험 가설을 검증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카테고리 없음 2021.12.30

인지심리학 3

1.개요 인지 심리학은 넓은 의미로 정의하자면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너무 포괄적이며, 좁은 의미의 인지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환경과 자신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는가, 그러한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각종 생활 장면에서의 과제들을 수행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인간이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하는 인지 과정은 두뇌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가능하며, 따라서 인지를 연구하는 인지 심리학은 자연히 물리학이나 생물학, 생리학에서와 같이 실험 및 가설 검증과 같은 과학적 방법을 사용해 연구하는 과학입니다. 2.연구 배경 마음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작용하는가 하는 물음은 예로부터 반복된 물음입니다. 이러한 물음을 던지고 ..

카테고리 없음 2021.12.30

심리학3

생물체의 의식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심리학을 어원상으로 보면 사이키(psyche)의 학문이라는 말로, 즉 ‘마음의 학문’이라는 뜻이 되지만 그렇다고 심리학을 마음의 학문이라고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심리학이 연구대상으로 삼는 ‘마음’이라는 것은 다의적(多義的)인 동시에 다차원적(多次元的)이기 때문에 이 마음의 어떤 측면, 어떤 차원을 대상으로 삼는가에 대해서는 시대적으로도 입장과 학파에 따라 차이가 있고, 각 학파나 시대에서 제기하는 정의라는 것 또한 꼭 같지는 않습니다. 예컨대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마음의 탐구는 전적으로 마음을 구성하는 실체는 무엇인가를 깊이 생각하는 이른바 영혼심리학이었고, 근세 이후 경험적 입장을 취하게 되면서부터는 우선 마음의 경험적 측면인 ‘의식’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의식심리..

카테고리 없음 2021.12.30

개인심리학 (아들러 심리학) 3

((인간관)) 아들러는 불완전한 존재로서 인간은 누구나 어떤 측면에서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이 된다는 것은 자신이 열등하다는 것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기술하였습니다. 아들러는 자기완성을 위한 필수요인으로 열등감을 꼽았습니다. 인간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즉, 개인 스스로가 본인이 가진 열등감을 파악하고 지배하는 게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개인이 열등감을 사로잡혀 열등감의 지배를 받는 상태가 열등감 콤플렉스입니다. 아들러가 창설한 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은 사회적 맥락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카테고리 없음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