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개인심리학(아들러 심리학) 2

엘리스1 2021. 12. 29. 06:33
728x90



((생활 양식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서 가장 기반이 되는 개념으로, 생을 영위하는 근거가 되는 기본적 전제와 가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생활 양식(life style)은 삶에 대한 개인의 기본적 지향이나 성격을 나타내줍니다.
또한 생활양식은 인생 목표, 나아가 자아개념, 타인에 대한 감정, 세상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개인의 인생적 취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들러에 따르면, 4-5살 때 형성된 생활양식은 이후 안정적으로 거의 변하지 않으며, 한 개인이 어떻게 그의 인생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내며 어떠한 방법으로 목표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방식을 결정해 준다고 합니다.


((생활 양식의 네 가지 유형))


생활 양식은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 의해 결정됩니다.
사회적 관심은 인간 각 개인에 대한 공감, 개인의 이익보다 사회 발전을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등 타인과의 소통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심리적 성숙의 주요 기준이 되며 보통 이기적과는 상반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활동 수준은 인생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개인의 보여주는 에너지의 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활 양식 유형의 예

① 지배형 (사회적 관심↓, 활동수준↑)

- 부모의 양육방식: 자녀를 지배하고 통제하는 독재형

- 특징 : 타인을 지배하고 통제하려 함

② 기생형 (사회적 관심↑, 활동수준↓)

- 부모의 양육방식: 자녀를 과잉보호

- 특징: 의존적인 아동

③ 회피형 (사회적 관심↓, 활동수준↓)

- 부모의 양육방식: 자녀의 기를 꺾어 버리는 양육방식

- 특징: 마냥 시도하지 않고 불평만 하고 사회적 관심이 떨어져 고립됨. 매사에 소극적이며 부정적인 태도를 가짐, 자신감이 없고 직면하는 것을 피함

④ 사회적 유용형(사회적 관심↑, 활동수준↑)

- 부모의 양육방식: 가장 바람직한 양육

- 특징: 자기수용적 태도를 가진 성숙한 사람으로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 자신과 타인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 인생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타인과 협동함



((가족구도/출생순위))


아들러는 가족구도와 출생순위가 우리의 생활양식 형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가정에서 부모를 중심으로 자녀와의 가족관계가 어떠한 가족구조를 형성하고 있는가는 자녀의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합니다.
아들러 학파 치료에서 가족역동 특히 형제간의 관계를 다루는 것을 매우 중요시합니다.
개인을 어떤 유형으로 전형화(典型化)하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지만 아동기에 형제간의 경쟁 결과로 생겨난 성격 경향이 개인의 남은 삶을 통해서 재현되는가를 살피는 것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인생과제))


아들러는 사람이면 누구나 적어도 세 가지 주요 인생 과제인 ‘일과 여가’ ‘우정이나 사회적 관심’ ‘사랑과 결혼’에 직면하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그 후 수십 년간의 연구들을 통해 이 세 가지 주요 인생 과제야말로 건강과 안녕에 있어 핵심이라는 입장을 더욱 공고히 해왔습니다.
모삭과 드레이커스(Mosak & Dreikurs, 1967)는 아들러에 의해 암시되기만 했던 다른 두 가지 인생 과제를 확인하였습니다.
자기지향성(self-direction)을 구성하는 열두 가지 내용은 가치감, 통제감, 현실적 신념, 정서적 자각 및 대처, 문제 해결 및 창의성, 유머 감각, 영양, 운동, 자기 보살핌, 스트레스 관리, 성정체감, 문화정체감 등입니다.



((허구적 최종목적론))


아들러는 인간을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적을 향해 노력하는 존재로 보았으며, 이러한 삶의 목적은 최소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개인심리학에서는 모든 인간의 행동은 목적을 갖는다고 가정합니다.
아들러는 목적론으로 프로이트의 결정론적인 설명을 대신하였습니다.
아들러는 인간의 행동을 유도하는 상상된 중심 목표를 설명하기 위해 허구적 최종목적론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허구적 최종목적론이란 허구나 이상이 현실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움직인다는 힝거(Hans Vaihinger)의 말에서 영향을 받은 개념입니다. 아들러는 인간의 모든 심리현상은 이 허구적 목적을 이해해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인간의 궁극적 목적은 허구로서 그것이 실현 불가능할지도 모르나 행동의 원인, 충동, 본능, 힘 등을 넘어서 행위의 최종 설명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